2025 대선후보 부동산 자산 총정리|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와 시세 비교
안녕하세요 재테크 모먼트 입니다.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 자산이 집에 묶여 있는 경우가 많죠.
저 또한 가장 큰 돈이 실거주 아파트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가오는 2025년 대선을 앞두고, 대선 유력 후보자들의 부동산 자산에 대한 관심이 많으실거라 생각해요.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보유 현황은 후보자들의 자산 형성과 투자 성향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시가격, 시세, 실거래가를 비교해 보며 각 대선 후보가 보유한 부동산의 현황을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2025 대선 후보별 부동산 자산 비교표
후보자 | 아파트명 | 공시가격 | KB 시세 (2024.4.11) | 최고 실거래가 | 실거래가 확인 |
---|---|---|---|---|---|
이재명 | 성남 양지마을 금호1차 164.25㎡ | 14억5600만원 | 24억5000만원 | 27억5000만원 (2024.12.18) | 실거래가 확인 |
김동연 | 도곡렉슬 59.98㎡ | 13억6300만원 | 26억2500만원 | 28억1000만원 (2025.2.18) | 실거래가 확인 |
이준석 | 포레나 노원 84.90㎡ | 7억2800만원 | 11억5000만원 | 12억원 (2024.10.29) | 실거래가 확인 |
김문수 | 관악구 은천아파트 59.93㎡ | 4억8000만원 | 7억1000만원 | 8억2000만원 (2022.1.14) | 실거래가 확인 |
한동훈 | 삼풍아파트 165㎡ | 24억원 | 41억5000만원 | 42억7000만원 (2022.5.6) | 실거래가 확인 |
홍준표 | 아시아선수촌아파트 151㎡ | 26억3300만원 | 42억7500만원 | 42억4000만원 (2024.12.9) | 실거래가 확인 |
나경원 | 신동아 아파트 210.25㎡ 외 3건 | 26억6500만원+ | 46억원+ | 45억원 (2021.10.12) 외 | 실거래가 확인 |
대선후보 아파트, 왜 주목받나?
이번 조사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후보자들이 서울 강남, 서초, 용산, 송파 등 핵심 지역의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시가격보다 실거래가와 시세가 월등히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재건축 기대가 있는 단지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후보자들이 실거주 외에 자산가치 상승을 고려한 선택을 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대선 후보자들 중 가장 좋은 아파트에 사는 후보는?
대선 후보자들의 아파트 자산 실거래 가격으로만 살펴보면, 국민의 힘 나경원 후보의 아파트가 가장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 뒤로는 홍준표, 한동훈 후보자가 뒤를 잇고 있습니다.
지난 대선때 홍준표 후보자의 아파트가 너무 비싼것이 아니냐라는 지적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그때 홍준표 후보자는 아주 오래 전
실거주 목적으로 대출을 받아 산 아파트 가격이 시간이 지나 오른 것을 어쩌란말이냐...라고 반응했었죠. 맞는 말입니다.
홍준표 후보자의 말대로 입지가 좋은 곳에 사둔 부동산은 시간이 지나면 가격이 올라 큰 자산이 되는 것 같습니다.
반면 가장 신축에 사는 후보자는 이번 대선 후보자들 가운데 가장 젊은 이준석 후보입니다.
노원구에 있는 신축 아파트를 매매해 거주하고 있습니다.
대선 후보자들 가운데 매입한 아파트에 실거주 하고 있는 것이 아닌 경우의 후보자는 이재명, 김동연 후보자 입니다.
소유하고 있는 아파트가 아닌 본인들의 지역구에 전세로 거주하고 있습니다.
대선 후보자들 대부분 부동산 투자에 성공한 것 같은 모습입니다.
대선후보 아파트 자산 비교 마무리
이러한 정보는 유권자들에게 후보의 자산 구성과 경제적 판단력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위 표에 링크된 실거래가 사이트를 통해 아파트별 상세 시세도 확인해보시고, 우리의 투자 방향을 정하는데 유익한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돈되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DC란 무엇인가?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2025년 최신) (1) | 2025.04.25 |
---|---|
1,000만원 굴리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합리적 소비와 투자 전략 총정리 (1) | 2025.04.24 |
2025년 SK텔레콤 분기 배당금 배당률 분석 및 지급 기준일 및 기준일 (0) | 2025.04.24 |
고용센터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실업급여 신청하는 법 (2025년 최신) (0) | 2025.04.23 |
알아두면 도움되는 건강보험 연말정산 분납 (0) | 2025.04.23 |